성어모음 55

괄모귀배(刮毛龜背)

괄모귀배(刮毛龜背) - 거북 등의 털을 긁다, 보람 못 찾고 쓸데없는 수고만 하다. [긁을 괄(刂/6) 털 모(毛/0) 거북 귀(龜/0) 등 배(肉/5)] 고사성어 풀이 :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도 그 결과가 시원찮으면 허탈하다. 오랫동안 공들여 해 온 일이 허사가 됐을 때 곧잘 ‘십년공부 도로 아미타불’이라 한다. 처음부터 좋은 결과가 없을 것이라고 예상하고서 열심히 하는 사람은 없다. 한 때의 잘못으로 애만 쓰고 아무런 보람이 없을 때 勞而無功(노이무공), 萬事休意(만사휴의)가 된다. 그런데 남이 보기에는 성공을 못할 일에 온갖 노력을 기울이는 어리석은 사람도 있다. 기름에다 그림을 그리고 얼음에다 조각을 한다는 畵脂鏤氷(화지루빙)이나, 실컷 힘들여 게를 잡고서는 놓아준다는 捉蟹放水(착해방수)가 그것이..

성어모음 2021.10.19

눌언민행(訥言敏行)

눌언민행(訥言敏行) - 말은 늦은 듯이 해도 실천은 재빠르다. [말더듬거릴 눌(言/4) 말씀 언(言/0) 민첩할 민(攵/7) 다닐 행(行/0)] 고사성어 풀이 : 말을 잘 하는 사람을 부러워하거나 말의 중요성을 가리키는 속담은 많다. ‘글 잘하는 자식 낳지 말고 말 잘하는 자식 낳으랬다’는 학문에 능한 사람보다 언변이 좋은 사람이 처세에 유리하다는 말이다. 마음속에는 온갖 계책이 들어 있더라도 시원스럽게 말을 해야 하는 것이 ‘말 안 하면 귀신도 모른다’이다. 웅변의 재능은 신의 선물이라 하고, 시원스럽게 하는 말을 폭포수에서 떨어지는 물과 같다 하여 口若懸河(구약현하)라고 찬탄하기도 한다. 하지만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고, 말로써 온갖 분란을 일으키는 일도 많아 조심하라는 경구는 수두룩하다. 여기에 ..

성어모음 2021.10.18

구즉난변(久則難變)

구즉난변(久則難變) - 오래된 것은 바꾸기 어렵다. [오랠 구(丿/2) 곧 즉(刂/7) 어려울 난(隹/11) 변할 변(言/16)] 고사성어 풀이 : ‘시간은 아름다움을 빚어내는 거장의 손길/ ../시간을 견뎌낸 것들은 빛나는 얼굴이 살아난다.’ 박노해 시인의 시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의 한 구절이다. 이전부터 연면히 이어오는 옛날의 전통이나 작품은 마르지 않는 샘처럼 향수와 지혜를 안겨주기에 영원하다. ‘옛말 그른 데 없다’는 속담은 조상의 지혜가 담긴 말을 명심하면 잘못될 수가 없다는 뜻이다. 중국 後漢(후한)의 유학자 王符(왕부)도 좋은 말을 남겼다. 캄캄한 방 안의 물건을 찾는 데에는 불보다 좋은 것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도를 당대에서 찾는 데에는 고전보다 좋은 것은 없다(索道於當世者 莫..

성어모음 2021.10.17

고사성어 : 마각(馬脚)

마각(馬脚) - 말의 다리, 가장하여 숨긴 진상이나 본심 [말 마(馬/0) 다리 각(肉/7)] 고사성어 풀이 : 말의 다리라는 본 뜻을 가진 이 말이 가식하여 숨긴 본성이나 진상을 비유하는 의미도 가졌다. 馬脚露出(마각노출)이라 하여 숨겼던 사실이 백일하에 드러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다. 말의 다리가 왜 진상을 말하게 되었는가는 중국 元(원)나라의 ‘陳州祟米(진주수미, 祟는 빌미 수)’라는 작가 미상의 고전극에서 말을 연기한 배우로부터 나왔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탈춤 북청사자놀음과 같이 연극에서 말을 연기하는 사람이 가면으로 역할을 하다가 실수로 본 모습이 드러난 것을 가리켰다. 앞다리 역할을 하는 사람과 뒷다리 역할을 하는 두 사람의 연기자가 의상에 가려 잘못하면 말이 아님이 드러나는 것이다. 널리 알..

성어모음 2021.10.15

사자성어 : 견미지저(見微知著)

견미지저(見微知著) - 미세한 움직임을 보고 다가올일을 알다. [볼 견(見/0) 작을 미(彳/10) 알지(矢/3) 나타날 저(艹/9)] 고사성어 풀이 : 겉모습만 조금 아는 실력에 전체를 아는 듯이 떠들면 ‘수박 겉 핥기‘ 바로 西瓜皮舐(서과피지)다. 흙으로 만든 솥이 우레 소리를 낸다고 瓦釜雷鳴(와부뇌명)이라 손가락질한다. 아예 모르면서 아는 체 하면 겨울의 눈을 모르는 蟬不知雪(선부지설)의 매미가 된다. 그런데 이렇게 나서지 않더라도 부분만 보고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예지력을 가진 사람도 있다. 산사에서 수도를 하면서 잎사귀 하나 떨어지는 것을 보고 一葉落知 天下秋(일엽낙지 천하추), 가을이 왔음을 알았다는 고승이나, 한 점의 고기만 맛보고도 솥 안의 전체 고기 맛을 짐작할 수 있는 嘗鼎一臠(상정일..

성어모음 20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