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어모음

고장난명(孤掌難鳴)

한국어자문회 2021. 10. 4. 20:19

 - 외손뼉으로는 소리를 내지 못한다, 혼자서는 일을 이루지 못한다.

[외로울 고(子/5) 손바닥 장(手/8) 어려울 난(隹/11) 울 명(鳥/3)]



혼자서 일을 잘 할 수 있는 특수한 영역 말고는 대부분 힘을 합쳐야 큰일을 이룬다. ‘도둑질을 해도 손발이 맞아야 한다’는 비유가 뭣하지만 잘 나타냈다. ‘외손뼉이 못 울고 한 다리로 가지 못한다’는 순화된 속담도 한 가지다. 두 손뼉이 마주 쳐야 소리가 나지 외손뼉만으로는(孤掌) 소리를 내기 어렵다(難鳴). 이 성어는 혼자서는 일을 이룰 수 없음을 말하거나, 서로 의견이 맞지 않아 성사가 지지부진할 때 비방하는 뜻이 담겼다. 대꾸하고 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되지 않음을 비유할 때도 쓴다. 獨掌不鳴(독장불명)이나 외가닥 실은 선을 이루지 못한다는 單絲不成線(단사불성선)도 아무 쓸모가 없다는 의미다.

똑 같은 말은 아니지만 비슷한 뜻으로 쓰인 예를 ‘韓非子(한비자)’에서 찾는다. 중국 法家(법가)의 확립자 韓非(한비)가 쓴 이 책의 功名(공명)편에 나온다. 글자대로 공적과 명성이란 뜻의 이편에서 군주가 대업을 이루기 위해서는 천시와 인심, 다스리는 기능도 중요하지만 권세와 지위가 우뚝해야 백성이 따른다고 했다. 어리석은 군주라도 현명하고 능력 있는 신하를 다스릴 수 있는 것은 권세와 지위가 있기 때문이다. 부분을 인용해 보자.

명성과 실제가 서로 의존하며 이루어지고 형체와 그림자가 서로 호응하듯 존립하듯이(名實相持而成 形影相應而立/ 명실상지이성 형영상응이립) 신하와 군주는 기대하는 것은 같으나 직분은 달리 하는 사이다. 군주의 걱정은 신하가 호응하지 않을 것을 걱정하니 ‘한 손으로 박수를 쳐서는 제아무리 빠르게 칠지라도 소리가 나지 않는다(一手獨拍 雖疾無聲/ 일수독박 수질무성)’고 했다. 그러면서 잘 다스려지는 나라에서는, 군주는 북채와 같고 신하는 북과 같으며, 신하의 재능은 마차와 같고 그의 임무는 마차를 끄는 말과 같다고 덧붙인다. 각각의 직분을 다하면서 서로 협조해야 나라가 편안해진다는 뜻이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성어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곡공음  (1) 2021.10.06
사자성어 : 진퇴유곡(進退維谷)  (1) 2021.10.05
사공견관(司空見慣)  (3) 2021.10.04
산자수명(山紫水明)  (1) 2021.10.03
교언영색(巧言令色)  (0) 2021.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