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우귀가(騎牛歸家) - 소의 등을 타고 집으로 돌아오다, 번뇌와 욕망을 이기고 본성을 찾다.
[말탈 기(馬/8) 소 우(牛/0) 돌아갈 귀(止/14) 집 가(宀/7)]
고사성어 풀이 : 새해가 밝아 흰 소의 해 辛丑(신축)년이 됐다고 매체마다 떠들썩했는데 정작 소띠 해는 음력 정월 이후다. 가축으로 사람과 가장 오래 동행한 소는 근면과 신뢰의 상징이다. 이전에는 牛骨塔(우골탑)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중요 재산이어서 ‘소는 농가의 조상’이란 말까지 들었다.
‘느릿느릿 걸어도 황소걸음’은 느려도 끝까지 책임 완수, ‘소더러 한 말은 안 나도 처더러 한 말은 난다’는 입이 무거워 믿음을 준다는 속담이다. 春園(춘원) 李光洙(이광수)는 소에 관해 멋진 말을 남겼다. 소는 순하다고, 어리석다고 말하지만 참을성이 많아서이고 지혜를 쓸 데가 없기 때문이라 했다. 그래서 ‘소는 동물 중에 인도주의자고, 부처요 성자’라고 우러르기도 한다.
소에 관한 그림 중에 화가 이중섭의 명화가 먼저 떠오른다. 더 유명한 것이 사찰 벽화로 흔히 볼 수 있는 尋牛圖(심우도)다. 불교 禪宗(선종)의 입문 때 인간의 본성 회복하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 찾기에 비유했다는 禪畵(선화)다. 불교신문의 풀이가 재미있다.
언어와 어떤 이론에 의존하지 않으면서(不立文字/ 불립문자), 부처님이 가르친 언어 밖의 의미를 되새겨(敎外別傳/ 교외별전), 사람 마음의 실상을 찾아(直指人心/ 직지인심), 바로 부처가 되는 것(見性成佛/ 견성성불)을 이상과 원리로 삼는 그림이란다. 깨달음을 얻기까지 열 단계로 나눠져 十牛圖(십우도)라고도 하는데 소의 등을 타고(騎牛) 집으로 돌아온다(歸家)는 이 그림은 여섯 번째다.
본성인 소를 찾기 위해 나서는 尋牛(심우)부터 소의 발자국을 따라 소를 찾은 뒤 야성을 길들인다. 그런 연후에 소를 타고 마음의 본향인 자기 자신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의미했다. 南朝(남조)의 승려 普明(보명)과 宋(송)의 廓庵(곽암) 등이 그린 이 단계의 그림은 동자가 겨우 소를 찾아 등에 올라탄 뒤 피리를 불며 깨달음의 세계인 집으로 돌아온다.
번뇌와 망상, 욕망을 초탈한 경지라 소도 동자도 무심하다. 곽암의 十牛圖頌(십우도송)에는 이렇게 표현한다. ‘한 박자 한 곡조 무한한 뜻 담겼으니(一拍一歌無限意/ 일박일가무한의), 의미를 아는 이 굳이 설명이 필요하랴(知音何必鼓脣牙/ 지음하필고순아).’
불자들에 친숙한 소에게서 이렇게 깨달음을 찾는 심오함은 속세의 중생들이 알 수가 없다. 단지 소와 함께 따라다니는 부지런함과 믿음을 받아들이면 훌륭하다. 소가 우둔하다고 對牛彈琴(대우탄금)이라 욕하지 말자. 이는 턱없이 시끄러운 거문고 소리라 못들은 척 하는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평생을 배우는 자세라면 소의 뿔에다 책을 걸고 읽은 牛角掛書(우각괘서)의 교훈을 받아들이면 좋겠다. 또 있다. 전염병을 예방하는 백신이 소에서 온 말이라니 코로나19를 소의 해에 완전히 퇴치하여 소의 등을 타는 나날을 기대할 만하다. / 사자성어 모음
'성어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목열자(瞋目裂眥) (0) | 2023.02.09 |
---|---|
복수불수(覆水不收) (0) | 2021.10.31 |
금의야행(錦衣夜行) (0) | 2021.10.29 |
금준미주 천인혈(金樽美酒 千人血) (0) | 2021.10.28 |
불여류적(不如留賊) (0) | 2021.10.27 |